와송 야생화! 바위솔[와연화(瓦蓮花)] Orostachys japonicus A.BERGER 와송이란 오래묵은 기와지붕위에서 자생하는 것을 말한다. 항암치료제로 알려지면서 자연에서는 흔적을 찾기가 어려워지는 아쉬움이다. 김동리 선생의 소설 무녀도에 살짝 언급이 되는 바위솔 야생화인데 여민촌 또는 잡성촌이라 불리어.. 야생화모음(ㅇ) 2019.11.04
대왕참나무! 대왕참나무(pin oak) Quercus palustris’ 대왕참나무하면 손기정 선수를 떠올린다. 독일 베르린 올림픽에서 마라톤 금메달을 목에 걸었지만 왼쪽 가슴에 달린 일장기를 가리기 위하여 독일에서 전달한 대왕참나무 묘목으로 부끄러움을 움친 일화가 유명하다. 뿐만아니라 대왕참나무는 교목으.. 야생화모음(ㄷ) 2019.11.03
피라칸다 가을열매! 피라칸다(피라칸사) Pyracantha angustifolia (Franch.) C. K. Schneid. 현화식물문- 목련강- 장미목- 장미과- 피라칸타속 활엽관목이다. 봄철 풍성한 눈송이 같은 꽃이 핀다. 화려한 꽃송이를 두고 '알일이 영근사랑' 이란 꽃말을 가진다. 원산지에서는 고산지대 식물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따뜻한 남.. 야생화모음(ㅍ) 2019.11.02
정선바위솔 야생화! 정선바위솔 Orostachys chongsunensis Y. N. Lee 강원도 정선 지역에서 자생한다고 불려진 이름이다. 줄기는 가지를 치지 않으며 잎은 둥글다. 끝은 뾰족하고 연한 자주색 무늬가 있는 분녹색이다. 길이는 1.5-3cm 정도이다. 뿌리에서 나오는 잎은 옆으로 퍼져 끝은 굳어져 가시처럼 된다. 줄기에서 .. 야생화모음(ㅈ) 2019.11.01
흰좀바위솔 야생화! 흰좀바위솔 O.minutus(KOMAROV)for.albus Y.LEE for.NOV. 잎은 둥근 긴 타원형이고 잎끝에는 아주 날카로운 가시가 붙어있어 자신을 보호하는 은장도로 보인다. 꽃은 9~10월에 피고 흰색으로 모여서 수상화서 모양으로 조밀하게 늘어서며 길이 3~4cm 정도이다. 곁꽃잎은 5장으로 긴 타원형이고 수술은 10.. 야생화모음(ㅈ) 2019.10.31
매화바위솔 야생화! 매화바위솔 그렇게 험준한 산길을 찾아 헤매다 만난 결과물이다. 꽃 모습이 매화를 쏙 빼닮었나 너무 작아 자칫 놓치기 쉬운 야생화다. 테리우스원-정필원 야생화모음(ㅁ) 2019.10.30
바위솔 야생화! 바위솔[와연화(瓦蓮花)] Orostachys japonicus A.BERGER 바위에서 자라면 바위솔, 오래묵은 기와지붕위에서 자생하면 와송이라 부른다. 항암치료제로 알려지면서 자연에서는 흔적을 찾기가 어려워지는 아쉬움이다. 테리우스원-정필원 야생화모음(ㅂ) 2019.10.29
가는잎향유 야생화! 가는잎향유 특정지역에서만 자생하기를 고집하는 가을의 일년초 야생화로 올해는 다행스럽게 봄철 발아시기에 적당한 강수량의 덕분에 많은 개체들이 가을을 뽐내며 피어난 아름다움이다. 테리우스원-정필원 야생화모음(ㄱ) 2019.10.28
배풍등 야생화 가을 열매! 배풍등[설하홍(雪下紅)] Solanum lyratum THUNBERG.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가지과의 덩굴성 반관목(半灌木). 깊은 산지의 양지쪽 계곡 바위틈에서 자생하는 야생화이다. 아주 큰 키를 자랑하며 약 3m정도 까지 자란다. 뿌리는 다년생으로 월동을 하고 오래묵은 가지는 나무화되어 겨울을 무서워.. 야생화모음(ㅂ) 2019.10.27
마가목 가을 열매! 마가목[정공등(丁公藤)] Sorbus commixta Hedl. 속씨식물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장미과로 전세계 약 100여종이 분ㄴ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약 4종과 변이종 일부가 자생하고 있으며 청정지역의 심산지역에 자리를 잡고 귀염움을 토하는 나무이다. 하나 버릴 것이 없는 나무지만 특히 노인들의 허.. 야생화모음(ㅁ) 2019.10.26
계요등[우피동(牛皮凍)] 야생화! 계요등[우피동(牛皮凍)] (鷄尿藤, 鷄矢藤) Paederia scandens (Lour.) Merr. 약명으로는 우피동(牛皮凍), 계뇨등(鷄尿藤)이고 다름이름으로는 산지과(山地瓜), 피동(披凍), 계각등(鷄脚藤) 변장미려(邊墻美麗) 라고도 불린다. 화려한 꽃과 가을의 열매가 조화롭지 않아 여름과 가을의 엉둥한 모습이 .. 야생화모음(ㄱ) 2019.10.25
용머리[청란(靑蘭)] 야생화! 용머리[청란(靑蘭)] Dracocephalum argunense FISCHER ex LINK. 용의 머리 형상으로 결핵의 질병을 치료하는데 도움을 주는 야생화이다. 약용식물자원고나리사 특별강의시간에 정필원-테리우스원 야생화모음(ㅇ) 2019.10.25
대흥란(大興蘭)- 멸종위기 야생 식물 II급 대흥란(大興蘭) Cymbidium macrorrhizum Lindl 멸종위기야생동·식물 II급 부생식물이다. 토종식물해설사 특별강의시간에 풍성함이 가득한 대흥란 야생화로 즐거우시고 행복하세요!! 부생식물-정필원 야생화모음(ㄷ) 2019.10.24
으름난초[토통초(土通草)]-멸종위기 야생 식물 II급 야생화! 으름난초[토통초(土通草)] Galeola septentrionalis Rchb.f. 난초과의 으름난초 엽록소가 없는 부생란(腐生蘭) 개천마라고도 불린다. 전초가 황갈색이며 황금같이 빛을 발하기도 한다. 뿌리 속에 균사(菌絲)가 들어 있기 때문에 다른 지역으로 옮기면 환경의 조건이 맞지 않아 반드시 죽는다. 꽃송.. 야생화모음(ㅇ) 2019.10.24
왕과 [적박(赤瓟)]-암꽃 야생화! 왕과 [적박(赤瓟)] Elsholtzia angustifolia (Loes.) Kitag. 야첨과(野甛瓜), 왕과(王瓜), 적박(赤瓟) 이란 약명과 다년생 야생화로 큰새박, 주먹외 등으로도 불린다. 간기능회복, 간염, 페결핵, 위산과다, 강역이습, 건위, 경선결핵, 유방염, 경혈, 근골구급, 야뇨증, 열질, 옹종, 월경이상, 이질, 주황병,.. 야생화모음(ㅇ) 2019.10.23